티스토리 뷰
와이프의 출산시기가 다가오면서 아빠로서 지식을 쌓기 위해 육아 관련 여러 가지 콘텐츠들을 보고 있는데요.
저는 그동안은 제가 스스로 알아서 컸다고 생각했는데 와이프가 임신해서 겪는 여러 힘든 증상들과 배가 불러서 잠도 제대로 못 자는 그런 모습을 보고, 제 아기를 잘 키우고 책임 질 생각을 하니 내가 스스로 잘 큰 게 아니라 부모님의 많은 노력을 통해 이렇게 잘 클 수 있었구나라고 생각하고 있는데요.
저 역시 예비 아빠로서 육아에 대해 공부를 시작해야 되겠습니다. 오늘은 첫 번째 공부로 아이가 태어나고 100일까지 기간별로 주로 발생할 수 있는 증상 및 조심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기 :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합니다.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가 관찰됩니다. 황달은 비교적 쉽게 치료할 수 있는 생리적인 황달과 모유 황달, 병적인 황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인 황달은 간 기능이 미숙한 신생아들에게서 나타나며 대게 일주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낫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유 활당은 일부 산모에서 젖에 특정한 물질이 분비돼서 생긴다고 합니다. 생후 1~2주 사이에 주로 생기며 모유 수유를 3일 정도 중단하면 증세가 호전될 수 있습니다.
병적 황달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태어난 직후 황달 증상이 있거나 빌리루빈 농도가 15ml을 넘으면 병적 황달을 의심할 수 있는데 눈에서 다리 쪽으로 진행되므로 아이의 피부를 살 폈을 때 증상이 전신으로 번진다면 병원에 찾아서 검진해야 합니다.
치료는 주로 형광등과 비슷한 치료기 밑에서 눈을 가리고 광선요법을 하게 되며 빌리루빈 검사 수치가 높은 중증의 경우는 교환 수혈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생아기 : 머리를 세개 누르지 말자 (소천문 & 대천문)
아이의 머리는 몸의 4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큰 별이며 머리의 뼈들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아 생긴 천문이 있습니다.
머리 앞 부분을 대천문 뒷부분을 소천문이라고 합니다. 아기는 태어날 때 산도를 쉽게 빠져나오게 돕고 두개골의 크기를 유연하게 만들어 머리가 커질 수 있게 합니다.
소천문은 6~8주면 닫히고 대천문은 생후 14~16개월 정도 되면 닫히게 됩니다. 두개골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아기의 머리를 심하게 누르지 말아야 합니다.
신생아기 : 청결한 배꼽 관리가 필요
아기는 태어나면 탯줄을 자른 뒤 배꼽 집게로 탯줄의 약 2cm 위를 집습니다. 특히 배꼽이 떨어지기 전에는 병균 감영의 통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목욕 후 하루 1~2회 정도 배꼽 주변의 물기를 살살 닦아 습하지 않게 관리하고 소독용 알코올을 발라줘야 합니다. 기저귀를 채울 때는 배꼽을 덮지 않게 주의해야 하며 생후 10~15일이 지나면 탯줄이 검고 딱딱하게 마르면서 저절로 떨어집니다. 만약 탯줄을 자른 부위에서 피나 고름이 보일 때는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반드시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생후 2개월 : 영아산통 (배앓이)
생후 2개월 이후 영아에서 발작적인 울음과 보챔이 하루 3시간, 최소 한 주동안 3회 이상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얼굴은 홍조를 띠고 입 주위는 창백하며 복부는 부풀어 오르고 하지를 구부리며 손을 꽉 쥐는 차세를 취한다고 합니다.
정확환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소화 기능의 미숙하거나 과식했거나 수유 시 공기를 많이 삼킬 경우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리고 모유 수유를 하는 엄마가 섭취한 카페인이나 유제품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습니다.
보통 생후 6주경에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생후 4개월이 되면 증상이 대부분 소실된다고 합니다. 장이 막히거나 복막염의 증세와 유사해서 계속 토하거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엄마와의 편안한 교감이 도움이 되며 모유 수유 중이라면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는 게 좋습니다.
생후 2개월 : 신생아 태열
태아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받은 열독이 쌓여 생후 2개월쯤 갑자기 피부가 붉게 되고 오돌 토돌 한 물집이 올라오는 증상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부모의 알레르기 체질을 가지고 태어났거나, 임신 중 산모가 맵고 짠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였거나, 먼지 및 진드기 등 환경적 요인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태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활환경을 시원하고 청결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겨울철은 실내 온도를 20~22도, 봄, 여름, 가을에는 23~24도로 유지하고 습도는 40~60%로 유지해야 합니다. 피부가 건조하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어 목욕시킬 때는 가급적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미지근한 물로만 씻기고 꼼꼼히 보습제를 발라줘야 합니다.
생후 3개월 : 영아 돌연사증후군
12개월 미만의 아이가 수면 중 갑작스럽게 사망하였으나 의학적 원일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를 지칭합니다.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여러 위험인자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1) 엎드려 자는 아기 2) 부모와 한 침대에서 자는 경우 3) 침구가 너무 푹신한 경우 4) 체온상승 5) 부모의 흡연
특히 엎드려 자는 아기의 경우 바로 누워 자는 아기보다 발생 빈도가 3배 이상 높아 푹신한 이부자리는 피하고 바로 눕혀 재워야 합니다. 아이가 자는 동안 무의식적으로 뒤척일 수 있으니 몸의 양옆을 쿠션으로 받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의 움직임으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아이와의 잠자리를 따로 마련해야 하며 실내 온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수면 중 호흡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생후 3개월 : 영아 지루성 두피염
지루피부염은 두피를 비롯해 얼굴, 귀 뒤, 사타구니 등에 누런 딱지가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피지 분비가 왕성한 생후 2~3개월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엄마로부터 태반을 통해 전달받은 호르몬의 영향으로 아기의 피지선이 자극, 지방 분비가 많아지고 그 지방이 산화되면서 피부를 자극해 일종의 염증을 유발하여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청결하게 관리해주는 것만으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아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주의해야 할 사항은 딱지를 억지로 떼어내면 안 되며 딱지 제거 후 염증이 생겼다면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하여야 합니다.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면 가려움증 등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화학 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보습제를 선택하여 충분한 피부 보습을 해줘야 합니다.
생후 3개월 : 소아탈장
장이 제 위치에서 비정상적으로 빠져나오거나 돌출되는 질환입니다. 사타구니 부위에서 발생하는 '서혜부 탈장'과 배꼽 밑의 복벽에서 발생하는 '배꼽 탈장'으로 구분됩니다.
아기가 울거나 칭얼거리면서 배에 힘을 줄 때 배꼽이 평소보다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이 부위를 살짝 누를 시 배 안으로 들어간다면 배꼽 탈장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배꼽탈장은 시간이 지나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서혜부 탈장은 사타구니로 불리는 서혜부 부근에 볼록한 주머니 형태의 돌출 증상이 나타난다면 한 번쯤 서혜부 탈장이 아닌가 의심해봐야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치유되는 배꼽탈장과 달리 서혜부 탈장은 심할 경우 장이 괴사 되거나 고환 장애가 생길 수 있으므로 조기에 수술을 해야 합니다.
오늘은 예비 아빠의 첫 번째 육아 공부로 '출산 후 3개월 간 우리 아기가 보일 수 있는 증상과 주의해야 되는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결혼 전에는 몰랐는데 결혼 후에는 이 세상 모든 유부남, 유부녀가 존경스러웠고 아기를 가진 후에는 이 세상 모든 아빠, 엄마를 존경하게 되었네요. 우리 아이뿐 아니라 이 세상 모든 아이들이 건강하게 엄마 뱃속에서 나와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잘 성장하였으면 좋겠네요.
'초보아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수유 매뉴얼, 수유 시 주의 사항 (0) | 2022.12.20 |
---|---|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양육방법 (1) | 2022.10.31 |
신생아(아기) 수면교육, 좋은 수면습관 들이기 (0) | 2022.10.28 |
임신소양증 완화 방법 및 극복기 (0) | 2022.10.26 |
예비아빠 필수 설치 어플 : 베이비빌리 (0) | 2022.10.21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오쏘몰이뮨
- 나트랑태교여행
- 대구시청맛집
- 대구역맛집
- 대구교동맛집
- 대구혁신도시맛집
- 대구 동구 맛집
- 입면장애
- 불면증
- 불면장애
- 직장인피로
- 대구텐동맛집
- 지산동맛집
- 대구맛집
- 동성로맛집
- 가습기추천
- 스튜디오시티
- 반월당역맛집
- 대구백종원
- 경기침체
- 비타민B
- 범물동맛집
- 대봉동맛집
- 중앙로역맛집
- 텐동맛집
- 용지역맛집
- 대구시내맛집
- 마카오여행
- 교동맛집
- 대구데이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